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02)
[Spring] Landing Page 설정 2021/03/06 - [Java] - [Spring]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Gradle) 설치 및 환경설정은 이전글을 참고해주세용! 지난 시간에 프로젝트를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에러페이지가 나왔다. 이것을 마음대로 바꿔보자. 매우 간단하다. 1. src> main > resources > static 폴더에 "index.html"파일을 생성한다. 2. index.html Hyuk is coding ... 3. 실행 이제 랜딩페이지가 에러가 안나오고 잘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따. 참고사이트 : docs.spring.io/spring-boot/docs/2.4.3/reference/html/getting-started.html#getting-started Getting Started If you a..
[Spring]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Gradle) Gradle이란 무엇일까 ? 지난 번 포스팅에 있던 Maven과는 다른 빌드 관리 툴이다. 그렇다면 둘의 차이는 ? Maven - Maven은 Java용 프로젝트 관리도구로 Apache의 Ant대안으로 만들어졌다. - 빌드 중인 프로젝트, 빌드 순서, 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 종속성 관계를 pom.xml파일에 명시하여 사용한다. - Maven은 외부 저장소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플러그인들을 다운로드 하고 난 후, 로컬시스템의 캐시에 저장한다. (이전 포스팅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찾는 사이트와 방법이 있습니당) Gradle - Apache Maven과 Apache Ant의 대안으로 나온 프로젝트 빌드 관리 툴로 오픈소스다. - Groovy 언어를 사용한 Domain-specific-language를 사용한..
[Spring] Maven, pom.xml이 뭐에요?(정의) spring을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에 pom.xml에 dependency~해서 뭔지도 모르는 코드를 막 적으라한다. 왜 적나, 적으면 뭐가 달라지는지 궁금해진다.(물론 저만의 생각일 수도 >,.target>pom.xml 파일을 열자. pom.xml 기본정보 4.0.0 com.tistory web tistory war 1.0.0-BUILD-SNAPSHOT 1.6 3.1.1.RELEASE 1.6.10 1.6.6 org.springframework spring-context ${org.springframework-version} commons-logging commons-logging org.springframework spring-webmvc ${org.springframework-version} org...
[Spring] DB연동하기1 (db연결 세팅하기) 2021/01/26 - [Java] - [Spring] spring 설치 [Spring] spring 설치 spring을 설치해보자. Help - Eclipse Marketplace.. 를 들어가서 STS를 검색하자 아래것과 Add-On for Spring 4 를 다운받아주자 수락을 누르고 피니쉬 ~ other을 누르고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하고.. coding-hyeok.tistory.com 지난 글을 보면 'The time on the server is ~????'라고 나온다 character encoding setting이 안돼서 그렇다. db를 연결하기 전에 먼저 character encoding setting 을 해주고 출발 해보자 매우 간단하다. 자신의 프로젝트 > sr..
[Spring] spring 설치 spring을 설치해보자. Help - Eclipse Marketplace.. 를 들어가서 STS를 검색하자 아래것과 Add-On for Spring 4 를 다운받아주자 수락을 누르고 피니쉬 ~ other을 누르고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고 Spring MVCProject를 선택한다. 뒤에 myapp이라고 쓴것을 주목해라.(보통 web이나 app으로 쓴다.) 제일 밑의 Properties 클릭 Maven > Project Facets > Java를 클릭후에 Apply and Close를 누른다 (Java 버전에 맞춰 변경)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Run on Server Tocat으로 서버를 실행시켜준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
[Server] 클러스터링(Clustering), 포트 포워딩( Cluster의 사전적 의미 : 무리, 무리를 짓다. 서버 클러스터링의 뜻도 비슷하다. 서버 클러스터란 ? 각기 다른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 같이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만약 묶인 서버중 하나의 서버에 오류가 난다면 오류가 나지 않은 서버로 이동하여 유저로 하여금 서버기반 서비스를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클러스터는 높은 수준의 안정성, 확장성,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보다 두개 이상의 시스템을 이용한다. 서버 클러스터는 3가지 장애를 대비한다. 1.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장애 -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2. 시스템과 하드웨어 장애 - 하드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3. 여러기관의 사이트 장애 - 자연 재해, 정전, 연결 중단 등 외적인 ..
[Server]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란 ?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Load)를 분산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 그렇다면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항상 로드밸런서를 해줘야 하는 것일까 ? 대답은 '그렇지 않다.' 이다. 왜냐하면 로드밸런서 자체가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해주는 기술이기 때문에 부하가 적거나 부하가 적은 초기 프로젝트인 경우 또는 프로토타입에서도 필요가 없을 것이다. 트래픽에 대처 하는 방법 1. Scale-Up 서버의 규모(Scale)을 키운다(UP).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예를 들어 처음에 CPU가 i5가 하나를 썼는데 스케일업을 하면 i7(i5이상)로 쓴다. 2. Scale-Out 스케일 업과 반대로 성능을 올리는 것이 아닌 갯수를 늘리는 방식이다. 처음에 i5 1개를 썼다고 ..
[JAVA] Servelet을 이용한 회원가입 자바 - 스프링을 배우고 싶다. 그 전에 자바 - 서블릿 - jsp를 이용하여 간단한 회원가입을 만들어 보자. (1년전에 수업들은걸 되살려보자!!) 그 전에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많이 쓰는 스프링이 무엇인지, 서블릿, jsp, tomcat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가보자 MVC :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3가지 역할로 구분한 패턴이다. Model -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타베이스 안의 상수, 초기화값, 변수, 값 등을 뜻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를 말한다. (예를 들어 좋아요 0개에서 버튼을 누르면 1이 된다. 여기서 초기의 0이란 값과 누르고 나서의 1이란 값이다.) View - 말 그대로 보이는 것. 출력되는 모든 것들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