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02)
[ReactNative]Mac - Android 설치(npx react-native run-android) 1. Node & Watchman 설치 node brew install node watchman brew install watchman 2. Java Development Kit brew cask install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8 3. Android Studio 설치 설치할때 설치마법사에서 Android SDK, Android SDK Platform, Android Virtual Device, HAXM을 체크하고 설치하자(캡처를 못했ㄷㅏ..) 4. Android SDK manager Android Studio를 설치하고나서 SDK manager에 들어가서 SDK manager 좌측 하단에 'show package details'를 누른다. Android10.0(..
[ReactNative] Mac - IOS설치(npx react-native run-ios) 맥은 왜.... 비싼지... 잘 모르겠다.... 그래도 ios를 개발하려면 mac을 사야했다... 산거 열심히 해보자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swift도 익혀보고 싶다. node, watchman 등이 필요하다. 1. node, watchman 설치 node설치 brew install node watchman설치 brew install watchman 2. Cocoapods설치 sudo gem install cocoapods cocoapods를 설치하고 환경 변수 설정을 해줘야 한다. .bash_profile이나 .zshrc파일에 export GEM_HOME=$HOME/.gem export PATH=$GEM_HOME/bin:$PATH 를 추가해주고 저장(source 폴더명)해주자 3. Xcode설치 App..
[React Native] Window 설치(npx react-native run-android) 앱개발을 하고자 React native를 배우고 있다. 개발에 앞서 설치부터 해보자 reactnative는 android, ios둘다 동시에 개발할 수 있따는 아주 큰 장점이 있따. 그러나 window는 개발을 해도 android만을 실험할 수 있다.(ios불가능) 그래서 맥북을 샀다. 다음에 맥에서 설치하는법도 올리겠다. reactnative를 하기 위해서는 Node, jdk, Android Studio등이 필여하다. 노드, jdk설치 choco install -y node.js.install openjdk8 2. Android Studio 설치 설치할때 설치마법사에서 Android SDK, Android SDK Platform, Android Virtual Device, HAXM을 체크하고 설치하자 ..
Invariant Violation: Module AppRegistry is not a registered callable module (calling runApplication) (Mac error react-native) 오늘의 에러 ! Invariant Violation: Module AppRegistry is not a registered callable module (calling runApplication) 해결방법 1.kill -9 node 2.npm start --reset-cache 3.react-native run-ios OR react-native run-android 하면 된다 !!!!!!!!!!!!!! 혁이는 오늘도 코딩중 ...*
Gradle -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Mac error - react native) 오늘의 에러 ! Gradle -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 해결 방법 프로젝트에서 android/gradle/wrapper폴더안의 gradle-wrapper.properties파일에 들어간다. 그러면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 ~~ /gradle-6.2-bin ~~ 라는 부분이 있다. 난 gradle 버전을 6.2를 6.3으로 고치니까 실행이 됐다. 참고문서 : coding-start.tistory.com/378 Gradle -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Spr..
Error: Command failed: ./gradlew app:installDebug -PreactNativeDevServerPort=8081(Mac React-native Error) Mac에서 npx react-native run-android를 실행하면 나오는 오류였다. 이 에러도 되게 많이 나왔다. 해결 방법은 되게 간단했다. 먼저, 터미널에 adb devices를 입력하여 android device가 연결 돼있는지 확인해봐라. 안돼있으면 환경변수가 제대로 설정돼있는지 확인해보아라. (나는 왜인지 모르겠는데 자꾸 환경변수 설정이 풀렸다. ) !.zshrc설정 했음 ㅠㅠ 이유아시는 고수분 알려주세여 ㅠㅠ 환경변수설정을 하고나서 adb devices를 입력하면 amulator 종류가 나올것이다. 그 다음으로 터미널에서 해당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1. gradlew clean 2. npx react-native run-android 를 입력하면된다. 참고 문서 : github...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mac react-native error) mac react-native error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 라는 오류가 떴다. 두가지 방법을 해보았다. 처음은 1. 수동으로 ios디렉토리 삭제 2. 캐시정리 - npm cache clean --force 3. react-native start 4. npm install 5. react-native link 6. react-native run-ios 했다. 그러나 안됐다. 두번째방법으로 1. cd ..
Error :spawn ./gradlew EACCES(mac error react-native ) react native하면서 느낀건데 뜨는 오류가 계속뜬다 ... 협업을 하다보니 서로 버전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도 있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것 같다 그런데 뜨는 게 여러번 뜬다. 그래서 정리하고자 error를 따로 정리하고자 한다. 첫번째 에러 ! Error : spawn ./gradlew EACCES cmd창을 열어 해당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chmod 755 android/gradlew 를 입력해주면 된다. 참고문서 : stackoverflow.com/questions/37900737/make-sure-you-have-an-android-emulator-running-or-a-device-connected-and-have Make sure you have an Android emulator runni..

반응형